전북에 거주하는 학부모라면 꼭 챙겨야 할 교육비 혜택, 바로 전북 에듀페이(EduPay)입니다!
2025년에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전국 최초,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에듀페이 지원 정책을 이어갑니다.
심지어 학교 밖 청소년까지 포함된 완전한 교육복지 혜택!
이 글 하나로
✔ 전주 에듀페이란?
✔ 신청 및 사용 방법
✔ 2025년 최신 지원금 금액과 대상
✔ 학교 밖 청소년 혜택까지
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 😊
✅ 전주 에듀페이란?
전북 에듀페이는 전주시 및 전북교육청이 함께 운영하는 교육복지 결제 시스템이에요.
학생에게 필요한 교육비를 지역화폐 바우처 형태로 지원해
학원, 문구점, 체험시설 등에서 에듀페이카드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.
에듀페이카드는 전북은행 JB카드사에서 발급하는 체크카드 형태의 전용카드입니다.
🎁 2025 전북 에듀페이 지원금 총정리
전북교육청은 올해 약 34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17만 5천여 명의 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에게 교육비를 지원합니다.
모든 항목은 상반기에 신청 및 지급됩니다. (*신청은 집중기간 이외에도 가능)
📝 신청방법 정리
항목 | 신청 방법 | 신청 시기 |
---|---|---|
입학지원금 | 전북에듀페이 누리집 (학부모 계좌 입력) |
3월 중 |
학습·진로지원비 | 전북에듀페이 앱 또는 누리집 | 4월 중 |
학교 밖 청소년 | 도내 청소년지원센터 방문 신청 | 매월 1~10일 |
신청 바로가기 ▶ 전북 에듀페이 신청 시스템
- 에듀페이 앱 설치: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'전주 에듀페이'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- 회원가입 및 자녀 정보 입력: 앱을 실행한 후, 자녀의 학교 및 학년 정보를 입력하고 본인 인증 절차를 완료합니다.
- 지원금 확인: 해당 학기 또는 분기별 지원금이 앱 내 계좌나 카드로 지급됩니다.
- 가맹점에서 사용: 에듀페이 사용이 가능한 학원, 서점, 문구점 등에서 QR코드를 통해 결제하거나, 카드로 직접 결제합니다.
💳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?
1. 사용처 및 활용 팁:
-
-
- 다양한 가맹점 이용: 전주 에듀페이는 서점, 학원, 문구점 등 교육 관련 업종 외에도 전주 한옥마을 내의 다양한 문화 체험 시설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 한옥마을의 전통 공예 체험관이나 한복 대여점 등에서 에듀페이를 활용하여 자녀와 함께 전통 문화를 체험해보는 것도 좋습니다. ※ 온라인쇼핑몰, 대형마트, 백화점에서는 사용 불가
- 체험학습비 활용: 에듀페이를 통해 지급된 체험학습비를 활용하여 전주 지역의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방문해보세요. 이를 통해 자녀의 교육적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.
- 정기적인 잔액 확인: 앱을 통해 지원금의 잔액과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,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지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세요.
-
2. 주의사항:
-
-
- 사용 기한 준수: 지원금은 일정 기한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될 수 있으므로, 사용 기한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- 가맹점 확인: 일부 가맹점에서는 에듀페이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, 방문 전에 앱을 통해 해당 가맹점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한도 관리: 학기별로 지급되는 지원금의 한도가 정해져 있으므로, 계획적인 사용이 필요합니다.
-
💡 활용 꿀팁
- 신청 시기 꼭 기억! 모든 지원금은 상반기 집중 신청!
- 카드 미리 발급해두기 (전북은행 쏙뱅크 앱 또는 지점)
- 학교 밖 청소년도 당당히 신청 전북 주소지만 있으면 가능!
✅ 결론: 2025 전주 에듀페이는 교육비 걱정 없는 스마트한 복지 시스템!
전북 에듀페이는
✔ 입학, 학습, 진로 맞춤형 지원
✔ 현금 + 바우처 혼합 지급으로 편리한 사용
✔ 다양한 체험과 교육 활동에 실질적인 도움
전주 학부모라면,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👉 전북 에듀페이 신청 바로가기
'생활정보 > 정부지원금 안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주사랑상품권 & 완주사랑상품권 완벽 정리 (0) | 2025.04.14 |
---|---|
전기차 살 때 정부지원금 1,280만 원 받는 법 (2025 최신) (1) | 2025.04.10 |
전기차 충전소 찾기 & 충전 요금 절약 꿀팁 (3) | 2025.04.09 |
친환경차 선택의 기로: 전기차 vs 하이브리드차, 무엇이 다를까? (0) | 2025.04.08 |
2025년 청년을 위한 정부지원 적금 총정리 (1) | 2025.03.28 |